-
1
-
전문대학 교양교육의 실존주의적 고찰 : 만드는 교육에서 만나는 교육으로
-
박영호;
고정완;
광주보건대학교;
광주보건대학교;
(지식과 교양,
v.16,
2024,
pp.215-241)
-
2
-
COVID-19 상황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교양과목 특성 및 만족도 탐색
-
노혜란;
박선희;
서원대학교;
한남대학교;
(교양교육실천연구,
v.5,
2021,
pp.47-68)
-
3
-
이태준과 교양의 형성 - 『사상의 월야』를 중심으로
-
허병식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5,
2004,
pp.117-145)
-
4
-
교양교육으로서 신유학의 수기치인에 대한 일고찰 —신독론을 중심으로—
-
신현승;
상지대학교;
(대학교양교육연구,
v.2,
2017,
pp.5-36)
-
5
-
‘바칼로레아’와 ‘책문’을 통한 글쓰기 교육
-
박정희;
;
(철학논총,
v.71,
2013,
pp.129-147)
-
6.
- 지식·정보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컴퓨팅 교육내용 분석 : 정보관련 교양도서를 중심으로
- 이혜나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44 p., 2006
-
7
-
카드뉴스의 서사전략과 이미지 내러티브
-
강현구;
호서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1,
pp.139-206)
-
8
-
예술체험을 통한 대학 인문교양교육 활성화 사례 연구
-
정옥희;
목원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17,
pp.171-194)
-
9.
- 대중 인문교양강좌 현황과 사례연구 : <가톨릭대학교 시민인문강좌>를 중심으로
- 이영주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37 p., 2012
-
10.
- 노래를 활용한 한시 교수·학습 방법 구안 :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『한문Ⅰ』을 중심으로
- 김해련
-
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