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6건 중 166건 출력
, 1/17 페이지
-
1
-
종군 "위안부"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해 - 양석일(梁石日)의 『다시 오는 봄(めぐりくる春)』을 기저로
-
소명선;
;
(日語日文學 =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56,
2012,
pp.175-191)
-
2
-
문학적 표상으로서의 〈섬〉 - 일본근ㆍ현대문학 속의 ‘제주도’
-
소명선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17,
2008,
pp.627-665)
-
3
-
마이너리티문학 속의 마이너리티이미지 - 재일제주인문학과 오키나와문학을 중심으로
-
소명선;
;
(日語日文學 =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54,
2012,
pp.283-320)
-
4
-
「私」에 대한 태도 혹은 자기평전 - 『憂い顔の童子』를 중심으로
-
소명선;
;
(日語日文學 =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24,
2004,
pp.157-169)
-
5
-
양석일(梁石日)의 「운하(運河)」론 - 신체감각과 공간표상에 관해
-
소명선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32,
2012,
pp.113-128)
-
6
-
오에 겐자부로문학에 있어서의 여성상 - 방법으로서의 소설, 방법으로서의 여성
-
소명선;
;
(日語日文學 =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49,
2011,
pp.261-286)
-
7
-
『체인지링』(取り替え子)론 - 문학적 장치로서의 죽은 자
-
소명선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14,
2005,
pp.355-372)
-
8
-
현월(玄月)의『권속(眷族)』論 - 포스트콜로니얼문학으로서의 가능성
-
소명선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34,
2010,
pp.157-171)
-
9
-
현월의 『말 많은 개(おしゃべりな犬)』론 - 재일제주인 사가(Saga)
-
소명선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19,
2009,
pp.299-314)
-
10
-
大江健三郞の1960年代の文壇體驗 - 「私」小說の成立背景をめぐって -
-
소명선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24,
2005,
pp.261-27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