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『모범 연애 소설 Novelas ejemplares y amorosas』: 여성의 자아 정체성과 명예관
-
임주인;
서울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3,
pp.315-338)
-
2
-
현대 프랑스 가톨릭 문학의 조류 - Jean Sulivan의 소설 Mais il y a la mer를 중심으로
-
노현희;
;
(프랑스 어문교육,
v.14,
2002,
pp.193-217)
-
3
-
성장소설 문법으로 바라본 ‘BTS 서사’
-
한승우;
중앙대학교;
(한국연구,
v.0,
2023,
pp.7-31)
-
4
-
『세상 El Mundo』: 현실과 가상의 이중적 글쓰기인 자전적 소설
-
권미선;
경희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9,
pp.123-137)
-
5
-
빅또르 ?y레빈의 『P 세대(Generation П)』에 나타난 문화영웅으로서의 ‘신러시아인’과 민족정체성
-
이은경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3,
2011,
pp.267-288)
-
6
-
Elementos autorreferenciales entre pretexto y texto en algunas novelas de vanguardia
-
김찬기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29,
2009,
pp.569-588)
-
7
-
광고텍스트의 이데올로기와 미디어통치 - ?y레빈의 『Generation 《П》』를 중심으로
-
최행규;
송정수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2,
2010,
pp.405-439)
-
8
-
오르테가 이 가세트의 소설이론: 내러티브의 위기와 소설의 새로운 개념
-
조민현;
대구가톨릭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4,
pp.251-271)
-
9
-
사실주의 및 자연주의 소설에 나타난 지역성 - 갈매기와 우요아의 대저택을 중심으로 -
-
박효영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5,
pp.163-178)
-
10.
- 한국과 중남미 낭만주의 비교 연구 : 이상화와 에체베리아의 시를 중심으로
- 김수정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86 p., 20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