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주기적 지형 측량을 통한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: 충남 보령시 소황사구를 사례로
-
강동균;
서종철;
대구가톨릭대학교;
대구가톨릭대학교;
(한국지형학회지,
v.19,
2012,
pp.69-79)
-
2
-
보령 소황리 전사구의 계절별 지형변화 특성과 그 의의
-
정필모;
최광희;
김윤미;
국립환경과학원;
국립환경과학원;
국립환경과학원;
(한국지형학회지,
v.19,
2012,
pp.109-122)
-
3
-
해수면 변동 시나리오에 따른 사구의 침수 취약지역 분석 - 동해안 고래불사구, 서해안 소황사구 사례를 대상으로 -
-
강지현;
서창완;
류호상;
국립생태원;
국립생태원;
전북대학교;
(한국지형학회지,
v.31,
2024,
pp.15-28)
-
4
-
보령 소황리 전사구의 계절별 지형변화 특성과 그 의의
-
정필모;
최광희;
김윤미;
국립환경과학원;
국립환경과학원;
국립환경과학원;
(한국지형학회지,
v.19,
2012,
pp.109-122)
-
5
-
해안사구 지형변화에 대한 해안림의 영향: 소황리 전사구를 사례로
-
김윤미;
공학양;
최광희;
강원대학교 생물학과;
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;
가톨릭관동대학교 지리교육과;
(한국지형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,
v.28,
2021,
pp.51-66)
-
6.
- 주기적 지형 측량을 통한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 변화 : 충남 보령시 소황사구를 사례로
- 강동균
-
대구가톨릭대학교, 국내석사,
60, 2011
-
7
-
주기적 지형 측량을 통한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: 충남 보령시 소황사구를 사례로
-
강동균;
서종철;
대구가톨릭대학교;
대구가톨릭대학교;
(한국지형학회지,
v.19,
2012,
pp.69-79)
-
8
-
한국에서 Homed Lark (Shore Lark) (Eremophila alpestris)의 첫 관찰
-
김인규;
이한수;
강태한;
조해진;
이준우;
;
(한국鳥類학회지=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,
v.14,
2007,
pp.151-152)
-
9.
- 해안사구에서 비오톱 유형분류 및 보전가치 평가지수 개발 : Development of Assessment Index for Conservation Values and Biotope Classification in Coastal Sand Dune
- 전지영
-
목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28 p., 2010
-
10.
- 건강성 평가를 통한 해안사구생태계 보전 관리방안 연구
- 명현호
-
목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xviii, 265 p.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