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표면소통(表面疏通): 오피스, 그 익명적인 건축의 촉매성
-
송하엽;
;
(建築 =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,
v.55,
2011,
pp.34-38)
-
2
-
설계경기 - 나라키움 광주빛고을청사
-
송주경;
송하엽;
(주)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;
;
(建築士 = Korean architects,
v.2016,
2016,
pp.102-107)
-
3
-
필라델피아 도시의 계획에 관해서 - 건축미학과 현실 사이의 갈등
-
송하엽;
;
(건축과 사회= Architecture & Society,
v.21,
2010,
pp.159-171)
-
4
-
깃듬의 건축: 마르셀 브로이어의 거주성의 추구와 건축주 스틸만 씨의 구축적 보존
-
송하엽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: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: Planning & design / 計劃系,
v.22,
2006,
pp.139-146)
-
5
-
건축담론 - 우리의 수상授賞<상을 줌>이 수상受賞<상을 받음>보다 가치있기를
-
송하엽;
중앙대학교 건축학부;
(建築士 = Korean architects,
v.608,
2019,
pp.18-19)
-
6
-
도시생활형 자전거 관련시설 및 자전거 정보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- 인천시 구도심 지역의 자전거 관련시설 개선을 중심으로
-
송하엽;
임소정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: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: Planning & design / 計劃系,
v.29,
2013,
pp.193-201)
-
7
-
비평 - 현실은 역사감(歷史感)이다 <장소의 재탄생 : 한국근대건축의 충돌과 확장> 역(展)을 보고
-
송하엽;
중앙대학교 건축학부;
(建築士 = Korean architects,
v.2014,
2014,
pp.66-67)
-
8
-
당선작 - 창원대학교 대학본부 증축 및 리모델링
-
이용민;
송하엽;
(주)종합건축사사무소 선기획;
(주)종합건축사사무소 선기획;
(建築士 = Korean architects,
v.2017,
2017,
pp.108-113)
-
9
-
공간 업사이클링 도시재생 수법을 활용한 지역 정체성 강화에 관한 연구 - 돈의문 박물관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-
-
전예진;
송하엽;
황세원;
중앙대 대학원;
중앙대 건축학부;
중앙대 건축학부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37,
2021,
pp.87-98)
-
10
-
인프라텍처 이론을 통한 수직 경계 공간의 입체적 이용에 관한 연구 - 영등포시장사거리와 영등포뉴타운지하상가 공간을 중심으로 -
-
정순욱;
송하엽;
중앙대학교;
중앙대학교;
(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,
v.0,
2021,
pp.165-1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