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파금의 ≪수상록≫ 선역
- 이춘매
-
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, 국내석사,
196p, 2017
-
2
-
巴金 『수상록』의 출발점과 구성에 대한 고찰
-
이희경;
;
(中國 現代 文學 = The Journal of Modern Chinese Literature,
v.1998,
1998,
pp.187-201)
-
3
-
몽테뉴의 ‘독자’와 자유인의 공동체 - 『수상록』3권 1장에 대하여
-
최권행;
;
(프랑스 고전문학 연구 = Litterature classique Francaise,
v.15,
2012,
pp.55-74)
-
4.
- 몽테뉴의 아동교육론에 관한 소고 : 『수상록』을 중심으로
- 김연희
-
昌原大學校, 국내석사,
ii, 64 장., 2000
-
5
-
몽테뉴 『수상록』 2부 12장 “레이몽 스봉을 위한 변론”에서의 판단 이론
-
백주진;
파리1대학;
(철학논집,
v.15,
2008,
pp.51-78)
-
6
-
시대의 그늘과 지식인의 목소리 - 바진의 《수상록》과 정치권력의 관계 읽기
-
이희경;
;
(中國人文科學,
v.31,
2005,
pp.559-571)
-
7
-
바진의 《수상록(隨想錄)》과 일본영화 《망향(望鄕)》
-
박난영;
수원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19,
pp.299-319)
-
8
-
A Harmonized Synthesis of Spirituality and Reason and the Birth of Modern Individualism Manifested in Montaigne’s Essays
-
Hwang, Hoonsung;
;
(동서비교문학저널 = The Journal of East-West comparative literature,
v.65,
2023,
pp.289-311)
-
9
-
몽테뉴 『수상록』 2부 12장 “레이몽 스봉을 위한 변론”에서의 판단 이론
-
백주진;
파리1대학;
(철학논집,
v.15,
2008,
pp.51-78)
-
10
-
몽테뉴의 ‘독자’와 자유인의 공동체 -『수상록』3권 1장에 대하여
-
최권행;
;
(프랑스고전문학연구,
v.15,
2012,
pp.53-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