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수업나눔 사례분석을 통한 숲교육의 의미탐구
- 권정희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, 2017
-
2.
- 수업나눔 공동체의 참여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: 설명적 순차설계의 적용
- 이대윤
-
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ⅶ, 78 p, 2020
-
3
-
수업나눔을 적용한 단위학교 수업협의 사례 연구
-
김효수;
진용성;
천안공업고;
하남풍산초등학교;
(한국교원교육연구,
v.34,
2017,
pp.81-107)
-
4
-
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
-
견주연,;
;
(교육혁신연구 =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,
v.29,
2019,
pp.405-425)
-
5
-
수업나눔을 적용한 단위학교 수업협의 사례 연구
-
김효수;
진용성;
천안공업고;
하남풍산초등학교;
(한국교원교육연구,
v.34,
2017,
pp.81-107)
-
6
-
The analysis of pre-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' teacher learning and their experience in English lesson sharing process
-
Kang, Jung Jin;
;
(Studies in English education,
v.27,
2022,
pp.153-180)
-
7
-
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flective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
-
Kim, Eunnam;
An, Soonju;
Kim, Minsun;
Lim, Myungho;
;
(아시아교육연구= Asian Journal of Education,
v.23,
2022,
pp.145-168)
-
8.
- 자발적 수업연구모임 형태의 동료장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
- 황승길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99 p., 2014
-
9.
- 쿠레레로서 교사학습공동체 체험의 의미
- 손은실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, 290 p., 2021
-
10
-
대학교수의 수업성찰 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 탐구
-
금혜진;
백석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;
(디지털융복합연구 =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,
v.14,
2016,
pp.57-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