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月例 硏究發表會 討論 要約
-
신춘호;
;
(道德敎育硏究= (The)Journal of moral education,
v.12,
2000,
pp.255-259)
-
2
-
월례발표회 논의정리
-
신춘호;
;
(道德敎育硏究= (The)Journal of moral education,
v.12,
2000,
pp.191-195)
-
3
-
‘소현세자빈 강씨’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소고 - 광명시 영회원 역사주제공원, ‘강빈 야판전(姜嬪 野坂田)’ 조성 제안
-
신춘호;
;
(인문콘텐츠 = Humanities contens,
v.2010,
2010,
pp.393-418)
-
4
-
해방직후의 농민소설연구
-
신춘호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1989,
1989,
pp.207-235)
-
5
-
심성함양 매체로서의 개념과 상징 - 함양(涵養)과 궁리(窮理)
-
신춘호;
;
(道德敎育硏究= (The)Journal of moral education,
v.24,
2012,
pp.87-111)
-
6
-
涵養과 窮理 : 교육이론의 성격
-
신춘호;
;
(道德敎育硏究= (The)Journal of moral education,
v.20,
2009,
pp.73-93)
-
7
-
월례연구발표회 토론요약
-
신춘호;
;
(道德敎育硏究= (The)Journal of moral education,
v.13,
2001,
pp.215-226)
-
8
-
칸트 윤리학에 비추어 본 도덕과 교육의 성격
-
신춘호;
;
(道德敎育硏究= (The)Journal of moral education,
v.17,
2005,
pp.85-105)
-
9
-
장이머우식 〈印象計劃〉의 성공요인과 한국형 〈실경산수공연〉의 가능성 탐색
-
신춘호;
;
(글로벌문화콘텐츠 = Academic association of global cultural contents,
v.5,
2010,
pp.167-211)
-
10
-
교육의 선험적 차원 - 이론과 실제의 관련
-
신춘호;
;
(道德敎育硏究= (The)Journal of moral education,
v.18,
2007,
pp.31-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