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烈女傳의 사회적 역할과 박지원의 「烈女咸陽朴氏傳」
-
신향림;
;
(한자한문연구,
v.4,
2008,
pp.155-186)
-
2.
- 盧守愼 詩에 나타난 思想 硏究 : 朱子學에서 陽明學으로의 轉變
- 신향림
-
高麗大學校, 국내박사,
208p., 2005
-
3
-
소재(穌齋) 노수신(盧守愼)의 시문에 나타난 기(奇)의 미감에 대하여
-
신향림;
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;
(유학연구,
v.59,
2022,
pp.71-98)
-
4
-
A Study on the Distance between Nongam Kim Chang-Hyeop and Yeonam Park Ji-Won - With a focus on the application changes of the Jin concept in literary theories -
-
신향림,;
;
(韓國漢文學硏究,
v.null,
2012,
pp.311-348)
-
5
-
穌齋 盧守愼의 만년기 시에 대한 고찰
-
신향림;
;
(고전문학연구,
v.,
2012,
pp.275-306)
-
6
-
「高山九曲歌」의 작자 문제
-
신향림;
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21,
pp.119-156)
-
7
-
燕巖 朴趾源의 만년 思想에 대한 再論 -맹인 설화와 「答任亨五論原道書」를 중심으로-
-
신향림;
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0,
pp.353-386)
-
8
-
燕巖 일파 문학론에서 色, 自然, 際
-
신향림;
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4,
pp.29-62)
-
9
-
盧守愼의 人心道心說에 내포된 陸王學의 심성수양론
-
신향림;
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4,
pp.277-315)
-
10
-
시조를 통해 본 陽明學의 傳來와 擴散
-
신향림;
고려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7,
pp.59-9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