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47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다산 정약용의『심경(心經)』론 - 『심경밀험(心經密驗)』을 중심으로
-
정일균;
;
(사회와역사,
v.73,
2007,
pp.337-384)
-
2
-
『心經附註』해석사에서 바라본 정제두의 『心經集議』
-
이상호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19,
2007,
pp.357-388)
-
3
-
'심경'의 서지적 연구
-
구정수;
남태우;
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과;
중앙대학교 문헌정보과;
(한국정보관리학회 2003년도 제10회 학술대회 논문집,
v.2003,
2003,
pp.367-375)
-
4
-
기호학파의 『심경』 『심경부주』 이해
-
이기훈;
(재) 한국국학진흥원;
(퇴계학논집,
v.0,
2013,
pp.113-135)
-
5
-
「心經後論」과 퇴계 직전 제자들의 『심경』 연구
-
황지원;
동국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3,
pp.9-31)
-
6.
- 寒岡 鄭逑의『心經發揮』硏究
- 정대진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218 p., 2018
-
7
-
퇴계철학의 독자성과 『심경부주』
-
김종석;
(재) 한국국학진흥원;
(퇴계학논집,
v.0,
2013,
pp.33-60)
-
8
-
퇴계와 심경부주
-
윤병태;
;
(圖書館學論集 =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,
v.5,
1978,
pp.67-89)
-
9
-
『心經』에서 『心經附註』로 : 미완의 ‘朱子學的 心學’
-
김기주;
순천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3,
pp.87-112)
-
10
-
다산 정약용의 『심경(心經)』론*- 『심경밀험(心經密驗)』을 중심으로
-
정일균;
서울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07,
pp.337-3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