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古樂譜解題補遺(Ⅰ)
-
李東福;
;
(韓國音樂硏究,
v.8,
1979,
pp.205-270)
-
2
-
「세종실록악보」 여민락의 음악형식과 그 변천에 대한 고찰
-
문숙희;
;
(韓國音樂硏究,
v.41,
2007,
pp.23-51)
-
3.
- 최마악의 음악적연구, 연구편,자료편
- 李知宣
-
お茶の水女子大學大學院, 국외박사,
xv, 903 p., 2001
-
4
-
古樂譜에 나타난 “宮”과 “당”의 관계에 대한 연구
-
成心溫;
;
(韓國音樂硏究,
v.12,
1982,
pp.15-29)
-
5
-
敦煌樂譜와 敦煌民間歌辭와의 關係試探
-
金賢珠;
;
(中國學硏究 = The Journal of Chinese studies,
v.20,
2001,
pp.235-257)
-
6
-
古樂譜(井間譜)의 時價에 關한 硏究 - 步虛子를 中心으로
-
李孝玢
;
(韓國音樂硏究,
v.13,
1984,
pp.175-200)
-
7
-
洋琴 古樂譜의 記譜法에 關한 硏究 - 『協律大成』洋琴譜의 時價記譜法을 中心으로
-
金英云;
;
(韓國音樂硏究,
v.15,
1986,
pp.67-92)
-
8
-
Current Status of Studies on Ancient Chinese Musical Scores and Future Tasks
-
Piao, En-Yu;
;
(동양음악 = Tongyang Umak,
v.36,
2014,
pp.127-147)
-
9.
- 音樂的 專門性과 멜로디의 構造가 樂譜 記億에 미치는 影響
- 강혜원
-
成均館大學校, 국내석사,
56p., 1983
-
10
-
『世祖實錄ㆍ樂譜』소재 敬勤之曲에 관한 연구
-
정화순;
;
(韓國音樂硏究,
v.36,
2004,
pp.199-21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