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'조국근대화'와 풍경의 재구성 : 새마을 운동 사진에 대한 비교 연구
-
안인기;
;
(기초조형학연구 : 한국기초조형학회 연구논문집,
v.9,
2008,
pp.543-554)
-
2
-
초기 워홀 작품의 문화적 의미 연구
-
안인기;
;
(기초조형학연구 : 한국기초조형학회 연구논문집,
v.8,
2007,
pp.285-295)
-
3
-
미술교육의 전환, 시각문화교육의 형성과 이론 체계
-
안인기;
;
(人文科學硏究論叢 = The journal of humanities,
v.32,
2011,
pp.319-352)
-
4
-
미술잡지 저널리즘의 형성과 기능
-
안인기;
서울대학교;
(미술이론과 현장 = the Journal of art theory & practice,
v.2,
2004,
pp.121-146)
-
5
-
초등 예비교사의 미술 교수 역량 참여관찰 연구
-
안인기;
춘천교육대학교;
(미술교육연구논총,
v.71,
2022,
pp.223-250)
-
6
-
‘가르치는 예술가’ 윤현옥의 미술과 교육 프로젝트 연구
-
안인기;
한양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11,
pp.67-90)
-
7
-
공예에 대한 현대적 입장들: 개념과 가치에 대한 재고
-
안인기;
;
(기초조형학연구,
v.12,
2011,
pp.293-304)
-
8
-
A Study on the education for making the moving image based on the analysis of Deleuze's cinema theory
-
안인기,;
;
(미술교육연구논총 = Journal of art education,
v.43,
2015,
pp.43-62)
-
9
-
박정희 시대의 민족주의와 미술의 변화에 대한 연구
-
안인기;
한양대학교;
(예술교육연구,
v.9,
2011,
pp.33-44)
-
10
-
1960년대 워홀의 대중문화 전유와 반미학 전략
-
안인기;
;
(기초조형학연구,
v.12,
2011,
pp.253-26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