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프랑스 역사야외극의 구성 요소와 지역 정체성
-
송희영;
서울예술대학교;
(문화경제연구,
v.19,
2016,
pp.85-109)
-
2
-
“우리는 변하는 걸까요?” —『막간』의 야외극과 문학적 실천
-
손영주;
;
(영어영문학,
v.54,
2008,
pp.703-725)
-
3
-
역사야외극에 나타난 기념제적 특성과 신화성 - 프랑스 방데의 역사야외극 ‘시네세니’를 중심으로 -
-
송희영;
서울예술대학교;
(인문콘텐츠,
v.0,
2017,
pp.175-205)
-
4
-
“우리는 변하는 걸까요?” —『막간』의 야외극과 문학적 실천
-
손영주;
서울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54,
2008,
pp.703-725)
-
5.
- Between the Acts에 나타난 제의적 요소
- 이소라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7p., 1996
-
6.
- 『막간』 속 여성과 동물 : 가부장제 비판과 대안적 공동체 비전
- 추현진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99, 2024
-
7
-
과천한마당축제 공연작품에 나타난 생태의식
-
Eun-Kyung Lee,;
;
(드라마연구 = The Journal of drama,
v.28,
2008,
pp.143-170)
-
8.
- 중세 후기 요크 성체극의 발달 배경
- 이경화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60, 2016
-
9
-
전통민용극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( A Study on the proper Stage of the Korean traditional dramas )
-
김기철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3,
1987,
pp.95-103)
-
10
-
버지니아 울프의 『막간』: 지적인 싸움으로서 생각하기
-
김금주;
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현대영미소설,
v.27,
2020,
pp.5-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