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시 창작 교육의 제 문제
-
엄해영;
서울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교육,
v.21,
2010,
pp.209-218)
-
2.
- 식물 병원세균 Ralstonia solanacearum의 viable but nonculturable state 유도와 병원성 관련 신규 유전자 부위의 동정
- 엄해영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ⅶ, 66장, 2010
-
3.
- (A)study on the post-Korean war generation novels
- 엄해영
-
세종대학교, 국내박사,
i,208p., 1992
-
4
-
부모의 읽기 태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학생의 읽기 태도와의 상관성 연구
-
김대희;
엄해영;
원광대학교;
서울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교육,
v.23,
2012,
pp.39-51)
-
5
-
내용교과 읽기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 중심 읽기 모형에 관한 연구
-
엄해영;
김선민;
;
(새국어교육,
v.0,
2008,
pp.219-256)
-
6
-
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- 2007 개정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보완 교재 CD 개발을 중심으로
-
엄해영;
조재윤;
;
(새국어교육,
v.0,
2009,
pp.285-310)
-
7
-
은유와 환유의 통합 적용을 위한 시 창작 교육 시론(試論)
-
엄해영;
;
(새국어교육,
v.0,
2014,
pp.317-342)
-
8
-
초등 문학 교육에서 매체 언어의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
-
엄해영;
;
(새국어교육,
v.0,
2013,
pp.225-248)
-
9
-
교과서를 통해 본 디지털 시대 문학 교육의 현재성
-
엄해영;
김대희;
서울교육대학교;
원광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11,
pp.525-548)
-
10
-
황동규 작시법을 적용한 시 창작 교육방법 시론(試論)
-
이향근;
엄해영;
;
(한국초등교육,
v.26,
2015,
pp.183-19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