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이책을 말한다 - 움베르토 에코 지음 '푸코의 추'
-
이윤기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68,
1990,
pp.18-18)
-
2
-
‘미와 추의 역사’에서 ‘인간 조건에 대한 성찰’로 움베르토 에코, 『추의 역사』(열린책들, 2008)
-
김용석;
영산대학교;
(코기토,
v.65,
2009,
pp.285-296)
-
3.
- 움베르토 에코의 '열린 예술작품론'을 통해서 본 해석의 문제
- 김새미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2, 2014
-
4
-
Theoretical Reflections on the ‘Aesthetics of Ugliness’ in the 20th Century to Extend Research Methodology in Modern Poetry - Focusing on Theories of Freud, Wolfgang Kayser, T. W. Adorno, Umberto Eco, and Ellen Dissanayake
-
Eum, Kyoung-hee;
;
(한국문학과예술 =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,
v.26,
2018,
pp.5-53)
-
5
-
현대시 연구방법론 확장을 위한 20세기 ‘醜의 美學’의 이론적 성찰― 프로이트·볼프강 카이저·T. W. 아도르노·움베르토 에코·엘렌 디사나야케의 이론을 중심으로
-
엄경희;
숭실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18,
pp.5-53)
-
6
-
기사소설 『아마디스 데 가울라 Amad? de Gaula』의 사회사적 의미
-
전기순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25,
2007,
pp.233-247)
-
7.
- 유리 로트만의 문화 이론과 번역의 문제 : 윤동주 시의 번역 텍스트를 중심으로
- 박소연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94장, 2020
-
8
-
박찬욱 감독 영화 속 색상 활용에 대한 기호학 분석 : 영화 ⟨헤어질 결심⟩을 중심으로
-
호양;
세종대학교;
(한국과 국제사회,
v.7,
2023,
pp.87-112)
-
9.
- 움베르토 에코의 문화기호학에 기반한 현대춤 작품 연구 : 호페쉬 쉑터, 샤론 에얄의 작품을 중심으로-
- 이성여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4
-
10
-
영화의 스펙터클과 추의 미학
-
김형래;
;
(인문과학연구 :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= Studies in humanities,
v.22,
2009,
pp.265-28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