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T.S. 엘리어트에서의 時間과 記憶
- 양재용
-
成均館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172p., 1997
-
2
-
T. S. 엘리어트의 古典主義 文學會
-
李仁秀;
;
(T.S.엘리엇연구 = Journal of the T.S. Eliot Society of Korea,
v.2007,
2007,
pp.201-228)
-
3
-
T. S. 엘리어트의 古典主義 文學論
-
이인수;
고려대학교;
(T. S. 엘리엇연구,
v.17,
2007,
pp.201-228)
-
4
-
T. S엘리어트의 ‘전통’은 얼마나 역동적인가?
-
김준환;
이화여자대학교;
(안과밖:영미문학연구,
v.19,
2005,
pp.234-258)
-
5
-
인간중심시대 문학자들의 인간존재의 창출 윤리 - 가와바타 야스나리와 T.S 엘리어트 -
-
김채수;
고려대학교;
(일본어문학,
v.0,
2009,
pp.255-276)
-
6
-
성과 지성의 변증법 : D. H. 로렌스와 T. S. 엘리어트를 중심으로
-
李炳郁;
;
(정신분석 = Psychoanalysis,
v.14,
2003,
pp.194-203)
-
7
-
T. S. 엘리어트의 『성당의 살인』과 『네개의 4중주』에 대한 아시아적 관점
-
다니엘키스터;
;
(西江人文論叢 = Humanities journal,
v.1994,
1994,
pp.225-245)
-
8
-
인간중심시대 문학자들의 인간존재의 창출 윤리 - 가와바타 야스나리와 T.S 엘리어트 -
-
Chaesu Kim,;
;
(日本語文學 = Journal of the Society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 Japanology,
v.46,
2009,
pp.255-276)
-
9
-
백낙청 비평에 나타난 ‘시적(詩的) 창조’의 의미- M. 하이데거와 T.S. 엘리어트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-
-
강용훈;
한림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4,
pp.355-381)
-
10
-
비체이자 하위주체인 기지촌 성매매 여성에 대한 재현: 김용익의 「번역사 사장」과 「주역과 T.S. 엘리어트」를 중심으로
-
손병용;
경남대학교;
(동서비교문학저널,
v.0,
2024,
pp.255-2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