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1/16 페이지
-
1
-
고구려 초기사의 집대성 : 여호규, 『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』 , 신서원, 2014
-
조, 영광;
;
(韓國古代史探究=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,
v.18,
2014,
pp.301-312)
-
2
-
고구려 초기사의 집대성 (여호규, 『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』, 신서원, 2014)
-
조영광;
전남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4,
pp.301-312)
-
3
-
망각했던 ‘공간’에서 주목해야 하는 ‘공간’으로 -여호규, 시간이 놓친 역사, 공간으로 읽는다(푸른역사, 2023)-
-
이현태;
국립박물관;
(한국문화연구,
v.45,
2023,
pp.243-250)
-
4
-
[서평] 치밀한 논리로 고구려 정치사의 난제를 부드럽게 녹여낸 역저 - 『고구려 정치사 연구』(임기환, 한나래, 2004) -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54,
2004,
pp.349-367)
-
5
-
고구려 초기 정치체제의 성격과 성립기반
-
여호규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17,
2000,
pp.133-172)
-
6
-
논문 3세기 고구려의 사회변동과 통치체제의 변화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15,
1995,
pp.137-172)
-
7
-
高句麗 初期의 諸加會議와 國相
-
여호규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13,
1998,
pp.33-78)
-
8
-
망각했던 ‘공간’에서 주목해야 하는 ‘공간’으로 -여호규, 시간이 놓친 역사, 공간으로 읽는다(푸른역사, 2023)-
-
이현태;
국립박물관;
(한국문화연구,
v.45,
2023,
pp.243-250)
-
9
-
[특집Ⅰ] 4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의 변화-對前燕關係를 중심으로-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36,
2000,
pp.35-71)
-
10
-
책봉호 수수(授受)를 통해 본 수ㆍ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2006,
2006,
pp.31-5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