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서가풍경-영남대 독문과 염무웅 교수의 서가
-
김장근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08,
2001,
pp.39-41)
-
2
-
『창작과비평』, 『문학과지성』을 말한다 - 김병익, 염무웅 초청 대담 -
-
김병익;
염무웅;
백영서;
인하대학교;
영남대학교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4,
pp.261-297)
-
3
-
4.19세대의 주체성 정립과 민족문학론으로의 도정 - 196, 70년대 염무웅 비평론
-
서승희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51,
2011,
pp.337-358)
-
4
-
권정생 선생님 영전에
-
염무웅;
;
(창비어린이,
v.5,
2007,
pp.30-32)
-
5
-
민족문학의 층위와 경계들 - 그 착종된 역사성에 대하여
-
염무웅;
;
(人文硏究,
v.43,
2003,
pp.163-172)
-
6
-
근대시의 탄생을 보는 하나의 시선 - 受容史的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
-
염무웅;
;
(한어문교육 =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1,
2009,
pp.7-32)
-
7
-
성찰적 근대성과 4·19세대 비평의 한 행로 -염무웅론-
-
전성욱;
동아대학교;
(겨레어문학,
v.0,
2014,
pp.159-190)
-
8
-
4.19세대의 주체성 정립과 민족문학론으로의 도정- 196,70년대 염무웅 비평론
-
서승희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5,
2011,
pp.337-358)
-
9
-
통일에 대비하는 문화적 동질성 확립을 위하여
-
염무웅;
;
(文化政策論叢,
v.5,
1993,
pp.31-45)
-
10
-
염상섭의 중도적 민족노선 - 1922년부터 1960년까지
-
염무웅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58,
2013,
pp.107-1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