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『국어국문학』을 중심으로 본 국어교육 연구의 흐름과 과제
-
염은열;
;
(국어국문학,
v.2012,
2012,
pp.215-245)
-
2
-
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-『고전문학과 교육』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18,
2009,
pp.5-40)
-
3
-
‘권장’의 형식을 통한 고전문학의 현재적 발견에 대한 성찰
-
염은열;
;
(독서연구,
v.26,
2011,
pp.303-333)
-
4
-
문학치료의 방법으로서의 독후감 쓰기에 대한 연구 - ‘한국문학치료학회’의 방법을 중심으로
-
염은열;
;
(독서연구,
v.14,
2005,
pp.315-333)
-
5
-
표현 자료로서의 <관동별곡> 연구
-
염은열;
;
(독서연구,
v.4,
1999,
pp.373-399)
-
6
-
고전교육의 문화론적 접근의 실태와 전망
-
염은열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24,
2001,
pp.85-103)
-
7
-
고전문학 ‘학습(學習)’의 경험과 ‘재미’의 문제에 대한 논의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28,
2014,
pp.37-63)
-
8
-
쓰기 교과서의 ‘활동’ 구성에 대한 연구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06,
pp.27-50)
-
9
-
고전문학 ‘학습(學習)’의 경험과 ‘재미’의 문제에 대한 논의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4,
pp.37-63)
-
10.
- 대상 인식과 내용 생성의 관계에 대한 표현교육론적 연구 : 기행가사를 중심으로
- 염은열
-
서울大學校, 국내박사,
181 p., 199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