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의혈투쟁에서 민족통일전선운동으로, 염인호, 1993, 『김원봉연구』, 창작과 비평사
-
백동현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1,
1996,
pp.346-358)
-
2
-
[서평/염인호,『김원봉 연구』, 창작과비평사, 1993] '진보적 민족주의자'에 대한 '진보적' 평가
-
장세윤;
;
(한국 근현대사 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,
v.1,
1994,
pp.274-281)
-
3
-
서평 근현대 인물연구의 주관성과 객관성 -김경일, <이재유연구> ; 심지연, <허헌연구> ; 염인호, <김원봉연구>
-
박태균;
;
(역사와 현실,
v.14,
1994,
pp.266-280)
-
4
-
국공내전ㆍ한국전쟁이 만든 만주조선인사회의 정체성 - 염인호, 『또 하나의 한국전쟁 : 만주 조선인의 ‘조국’과 전쟁』(역사비평사, 2010)
-
정병준;
;
(역사와 현실,
v.2011,
2011,
pp.362-372)
-
5
-
중국 국공내전기 만주 국민당 지구 韓人의 동향(1948) - 瀋陽 거주 韓人의 탈출과 귀환을 중심으로
-
염인호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27,
2007,
pp.175-211)
-
6
-
[연구논문] 해방 직후 연변 조선인 사회의 변동과 6ㆍ25전쟁 - 군중 대회ㆍ운동 분석을 통하여 -
-
염인호;
;
(한국 근현대사 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,
v.20,
2002,
pp.292-320)
-
7
-
최초의 의열단 전사(全史)
-
염인호;
;
(사회와역사,
v.53,
1998,
pp.199-209)
-
8
-
중국 연변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일고찰(1945.8-1950.말)
-
염인호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8,
2008,
pp.125-151)
-
9
-
해방후 韓國獨立黨의 中國 關內地方에서의 光復軍 擴軍運動
-
염인호;
;
(역사문제연구,
v.1996,
1996,
pp.263-313)
-
10
-
해방 전후 민족혁명당의 민족통일전선운동
-
염인호;
;
(역사연구,
v.1992,
1992,
pp.333-3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