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영미소설과 영화 강의의 사례 연구 - 1999년 전남대학교 영문학과의 경우
-
이경순;
;
(문학과 영상=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,
v.1,
2000,
pp.69-96)
-
2.
- 19세기 영미소설과 SF 영화에 나타난 정체성의 유형분석
- 김진선
-
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49, 2017
-
3.
- 위대한 유산 원작과 영화 비교 연구 : 쿠아론 감독의 영화를 중심으로
- 김성은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1장, 2014
-
4.
- 영어소설을 활용한 영어 읽기 지도 방안 연구 : 『샬럿의 거미줄』을 중심으로
- 최희진
-
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24장, 2018
-
5.
- 성장소설을 활용한 영어읽기 능력 활성화 기법
- 남재영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ix, 77장, 2006
-
6.
- 크리티컬 리터러시 수업을 통한 테스 비판적 읽기 연구
- 한지윤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80장, 2013
-
7.
- 영화화된 소설을 통한 비판적 영어습득 : 로빈슨 크루소를 중심으로
- 김진영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29 p., 2008
-
8.
- The Cordelia complex in paranarrative : the basic instinct of postmodern textuality
- 제금희
-
Indiana University of Pennsylvania, 국외박사,
viii, 260 p., 1998
-
9.
- 영소설의 ‘창의적’ 활용방안 연구 : Kazuo Ishiguro's The Remains of the Day
- 문금자
-
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83 p., 2007
-
10
-
『근대영미소설』 연구 경향(1994~2022)과 소설론
-
박종성;
충남대학교;
(근대영미소설,
v.30,
2023,
pp.53-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