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칼 융(C.G. Jung)의 ‘적극적 상상’ 관점으로 본 만화의 치유적 속성
-
박혜리;
동양대학교;
(만화애니메이션연구,
v.0,
2021,
pp.371-396)
-
2
-
아도르노의 디즈니 만화영화 비판
-
이아름;
서울대학교 미학과;
(만화애니메이션연구,
v.0,
2024,
pp.253-277)
-
3.
- 소묘 지도 연구 : 초등학교 고학년의 흥미유발을 중심으로
- 류수동
-
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6p., 2001
-
4
-
한국 현대 미술에 나타나는 '만화 이미지'의 경향성 -이동기의 <아토마우스>를 중심으로-
-
전영재;
공주대학교 대학원 만화애니메이션;
(만화애니메이션 연구=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,
v.36,
2014,
pp.669-702)
-
5.
- 한국 만화문화의 생성과 수용과정 연구 : 만화의 사회적 가치를 중심으로
- 장진영
-
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[6], 285 p., 2011
-
6.
- 중국과 한국 신문만화의 시각예술에 대한 비교 연구 : 신문 시사만화를 중심으로
- 위무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ii, 211p., 2023
-
7
-
비주얼 컬처로서 만화영상의 확장된 장(場, fest)에 대한 논의: 뉴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
-
이화자;
김세종;
공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, 공주대학교 문화예술산업연구소;
목원대학교 미술학부 만화애니메이션학과, 공주대학교 만화학과;
(만화애니메이션 연구=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,
v.28,
2012,
pp.1-25)
-
8.
- 중학교 만화교육에서의 교구활용방안
- 김지선
-
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05 p., 2012
-
9.
- 초·중등학교 현장에서 활용하는 영상매체의 교육적 가치 고찰
- 주재혜
-
공주대학교, 국내석사,
v장, 152 p., 2007
-
10.
- 시각적 문해력 증진을 위한 학습만화 창작 표현 지도 방안
- 노민경
-
서울교육대학교, 국내석사,
viii, 104 p.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