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(인터뷰)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오태광 박사
-
오태광;
;
(微生物과 産業 =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,
v.30,
2004,
pp.42-44)
-
2
-
효소자원의 이용과 방선균효소
-
오태광;
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공학연구소 미생물 효소 연구실;
(생물산업 : 한국미생물·생명공학회 소식지 = Bioindustry news,
v.11,
1998,
pp.8-13)
-
3
-
효소기술 개발동향
-
오태광;
유전공학연구소;
(微生物과 産業 =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,
v.20,
1994,
pp.26-33)
-
4
-
미생물 유전체 활용기술개발 사업단
-
오태광;
한국생명공학연구원;
(微生物과 産業 =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,
v.28,
2002,
pp.3-9)
-
5
-
식품신소재의 바이오 생산 - 생물 전환 기술
-
오태광;
유전공학연구소;
(微生物과 産業 =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,
v.20,
1994,
pp.34-37)
-
6
-
미생물 '보물지도' 만든다
-
오태광;
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38,
2005,
pp.86-89)
-
7
-
홍화색소의 일반추출과 셀룰라아제추출의 비교연구
-
신인수;
홍경옥;
오태광;
원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상학과;
원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상학과;
생명공학연구원 환경생물소재연구실;
(대한가정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,
v.39,
2001,
pp.49-59)
-
8
-
면역친화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Tricholderma viride의 Cellobiohydrolase 분리
-
오태광;
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센터;
(산업미생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,
v.18,
1990,
pp.390-393)
-
9
-
효소기술의 산업적 발전
-
정태화;
오태광;
유전공학연구소;
유전공학연구소;
(微生物과 産業 =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,
v.20,
1994,
pp.23-25)
-
10
-
우수균주 개발의 최적화
-
오태광;
한국과학기술원 유전공학센터;
(微生物과 産業 =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,
v.15,
1989,
pp.40-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