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알레고리로서의 제3세계 소설 : 누르딘 파라 저, 이석호 역,『지도』(인천문화재단, 2010.4)
-
왕은철;
;
(플랫폼,
v.21,
2010,
pp.20-24)
-
2
-
식민지 시대의 지식인상을 통해서 본 민족주의-조정래의 『아리랑』론-
-
왕은철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00,
2000,
pp.232-249)
-
3
-
2003년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존 쿳시 - 인간 존 쿳시와 그의 작품세계
-
왕은철;
전북대학교 영문과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36,
2003,
pp.124-125)
-
4
-
「마을에서」에 나타난 엘리자베스 비숍의 애도작업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현대영미소설,
v.19,
2012,
pp.79-104)
-
5
-
개인의 비극과 상처를 넘어: J. M. 쿳시의 『페테르부르크의 대가』에 나타난 고통의 시학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66,
2020,
pp.305-327)
-
6
-
J.M. 쿳시의 소설에 나타난 식민주의 및 제국주의-『야만인을 기다리며』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하여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50,
2004,
pp.291-317)
-
7
-
남아프리카 작가의 “저당잡힌” 상상력의 윤리적 책무 -도스또옙스키의 『악령』을 다시 쓴 J.M. 쿳시의 『페테르부르크의 대가』에 관하여
-
왕은철;
;
(영어영문학,
v.49,
2003,
pp.21-43)
-
8
-
디아스포라 작가의 한숨과 향수—할레드 호세이니의 『그리고 산이 울렸다』를 중심으로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현대영미소설,
v.20,
2013,
pp.211-232)
-
9
-
J.M. 쿳시의 장르 담론 —패러디 자서전으로 읽는 『서머타임』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70,
2024,
pp.901-926)
-
10
-
“더 타자적인 타자”로서의 동물들: J.M. 쿳시의 「노년의 여성과 고양이들」에 나타난 동물윤리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67,
2021,
pp.745-76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