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‘요하문명론’의 초기 전개 과정에 대한 연구
-
우실하;
;
(단군학연구,
v.21,
2009,
pp.273-309)
-
2
-
중국 요하문명론의 전개와 의미
-
Cho Bup-Jong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51,
2013,
pp.7-36)
-
3
-
요하문명, 홍산문화 지역의 지리적 기후적 조건
-
우실하;
한국항공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30,
2014,
pp.213-251)
-
4
-
요하문명과 고조선 역사의 문명사적 고찰(考察) - 단군사화(史話) 본문의 역사비평적 해석
-
방석종;
;
(단군학연구,
v.15,
2006,
pp.37-85)
-
5
-
요하문명과 황하문명과의 관련양상 - ‘고조선’의 성립과 전개양상을 주축으로
-
김채수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44,
2012,
pp.145-171)
-
6
-
Liaohe(遼河) Civilization and Fire God Worship
-
Choi, Jeong Suk;
;
(仙道文化= Journal of Korean Sundo culture,
v.23,
2017,
pp.217-246)
-
7
-
몽골 지역 석인상의 기원과 요하문명(遼河文明)
-
우실하;
;
(몽골학,
v.0,
2010,
pp.145-183)
-
8
-
요하문명과 고조선의 실체
-
김채수;
고려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2,
pp.305-337)
-
9
-
요하문명과 황하문명과의 관련양상 -‘고조선’의 성립과 전개양상을 주축으로-
-
김채수;
고려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2,
pp.145-171)
-
10
-
요하문명과 고조선의 실체
-
김채수;
고려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2,
pp.305-3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