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우정아의 나비설치전에 관한 연구
- 우정아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32 p., 2004
-
2
-
마치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- 온 카와라의 〈일일회화 Date Paintings〉와 전쟁의 기억
-
우정아;
;
(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,
v.27,
2007,
pp.52-73)
-
3
-
Francis Alÿs: An Artist of City Strolling
-
우정아,;
;
(미술사학보 = Reviews on the history,
v.43,
2014,
pp.119-141)
-
4
-
[질의] 「픽쳐의 확장: 크림프의 ≪Pictures≫부터 ‘타블로 형식’과 타블로 비방(tableau vivant)까지」에 대한 질의
-
우정아;
;
(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,
v.39,
2013,
pp.233-235)
-
5
-
스마트 어플리케이션 동향과 디지털 정책 시사점
-
한현수;
우정아;
한양대학교 경영대학;
한양대학교 정보기술경영학과;
(디지털정책연구 =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& management,
v.10,
2012,
pp.1-10)
-
6
-
조지아 오키프(Georgia O’Keeffe) 비평에 나타난 ‘여성성’의 담론
-
우정아;
;
(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,
v.12,
1999,
pp.137-144)
-
7
-
권미원, 『한 장소 다음에 또 한 장소: 장소특정적 미술과 지역적 정체성』, (Miwon Kwon, One Place After Andther: Site-Specific Art anf Locational Identity Cambridge, Massachusetts: The MIT Press, 2002)
-
우정아;
;
(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,
v.26,
2007,
pp.242-247)
-
8
-
오노 요코의 <그레입프루츠(Grapefruit)>: 공포와 좌절, 아브젝시옹(abjection)의 퍼포먼스
-
우정아;
한국과학기술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07,
pp.66-89)
-
9
-
‘뮤지엄’의 폐허 위에서: 1990년대 한국 미술의 동시대성과 신세대 미술의 담론적 형성
-
우정아;
포항공과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17,
pp.130-157)
-
10
-
줄리안 슈나벨의 신표현주의 회화와 미술사의 ‘차용’에 대하여
-
우정아;
포항공과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13,
pp.170-1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