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Uljin Hupori Relics and Sundo Heaven Ritual(仙道祭天) Culture of Neolithic Age in Southern Korean Peninsula
-
Choi, Soo Min;
;
(仙道文化= Journal of Korean Sundo culture,
v.34,
2023,
pp.175-214)
-
2
-
울진 후포리유적과 한반도 남부의 신석기 선도제천문화
-
최수민;
초등학교;
(仙道文化,
v.34,
2023,
pp.175-214)
-
3.
- 한반도 산양의 시·공간적 분포와 변화
- 김다빈
-
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01 p., 2017
-
4.
- 신석기시대 조기 동해안지역 물질문화 교류 : 죽변리유적 출토 토기 중심으로
- 하영중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7, 2019
-
5
-
금강송림(金剛松林)의 식생유형분류(植生類型分類)에 관(關)한 연구(硏究)
-
윤충원;
홍성천;
경북대학교 임학과;
경북대학교 임학과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89,
2000,
pp.310-322)
-
6
-
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물질문화 교류 - 죽변리유적 토기 중심으로 -
-
하영중;
삼한문화재연구원;
(야외고고학,
v.0,
2020,
pp.5-43)
-
7
-
고고학에서의 잔존유기물 분석과 그 활용: 최근의 사례를 중심으로
-
곽승기;
유지아;
김희근;
류승혜;
송효민;
김경민;
경북대학교;
국립문화유산연구원;
경북대학교;
경북대학교;
경북대학교;
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고고과학연구센터;
(고고학,
v.24,
2025,
pp.93-120)
-
8.
- 鴨形土器의 變遷과 그 意味
- 박현상
-
한신大學校, 국내석사,
v, 75장, 2017
-
9.
- 고려시대 사찰의 院館 建築 연구
- 박만홍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v, 245p., 2023
-
10
-
동·남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양식 - 죽변 유적을 중심으로 -
-
임상택;
부산대학교;
(한국신석기연구,
v.0,
2012,
pp.1-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