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맥류(麥類)의 춘화처리(春化處理)에 대한 사상의학적 고찰 -농가월령(農家月令)을 중심으로-
-
김종덕;
고병희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;
(사상의학회지 = Journal of constitutional medicine,
v.10,
1998,
pp.253-267)
-
2.
- 月令사상에 근거한 四柱 간명사례 연구
- 남경훈
-
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64장, 2024
-
3
-
高麗時代 『禮記』月令思想의 도입
-
한정수;
건국대학교;
(사학연구,
v.0,
2002,
pp.49-77)
-
4
-
『呂氏春秋』에서의 陰陽과 五行의 結合 - 十二紀의 月令思想을 중심으로
-
조주은;
윤무학;
도봉문화원;
동방대학원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14,
pp.133-164)
-
5.
- 『呂氏春秋』의 四時·월령에 관한 硏究
- 여지연
-
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, 국내석사,
p123, 2017
-
6.
- 陰陽五行思想의 存在論的 考察
- 김영목
-
忠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, 124p., 2001
-
7.
- <사대춘추(四代春秋)>의 창작방법과 정치적 우의
- 박혜민
-
高麗大學校, 국내박사,
ii, 138 p., 2018
-
8.
- 『窮通寶鑑』의 配合과 中和理論에 關한 硏究 : 天干地支의 太過不及을 중심으로
- 김순나
-
공주대대학원 동양학과, 국내박사,
205p, 2022
-
9.
- 秦漢 祭禮와 國家支配
- 문정희
-
延世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iii, 263 p., 2005
-
10.
- 명리학의 궁성(宮星)에 관한 연구
- 정수아
-
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106, 20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