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93건 중 493건 출력
, 1/50 페이지
-
1
-
이효석 소설의 할리우드 표상과 유럽 영화라는 상상의 공동체
-
전우형;
건국대 교양교육센터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19,
2013,
pp.469-504)
-
2
-
19세기 유럽소설의 대도시 체험 - 비교문학적 접근
-
윤혜준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4,
1998,
pp.379-383)
-
3
-
중국 소설의 유럽에서의 수용과 변용— <莊子休鼓盆成大道>를 중심으로
-
최형섭;
서울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21,
pp.81-118)
-
4
-
토마스 만의 소설 <뒤바뀐 머리들> - “인도 성담” 혹은 유럽/독일 신화? -
-
김륜옥;
;
(헤세연구,
v.0,
2015,
pp.131-157)
-
5
-
유럽에 전해진 중국 소설(1735-1840) ― 프랑스와 영국을 중심으로
-
최형섭;
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;
(중국어문논총,
v.0,
2020,
pp.149-181)
-
6
-
근대 유럽인의 정체성과 타자화된 아시아-토마스 만의 소설 마의 산과 오리엔탈리즘
-
홍길표;
연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7,
2005,
pp.66-86)
-
7
-
일본 근대 지식인들의 근대상 - 근대소설 속의 일본, 아시아, 유럽 / 아리시마다케오(有島武郞)의 경우 -
-
신인섭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12,
2002,
pp.303-325)
-
8
-
서양인이 본 고소설의 표기문자와 향유계층- 유럽 동양학자, 한국 개신교선교사의 국문고소설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을 중심으로
-
이상현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24,
pp.173-208)
-
9
-
이광수 소설 『무정』에 나타난 유럽적 서사구조 - 스페인의 피카레스크적 서사구조에서 독일의 교양소설적 서사구조에로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
-
진상범;
;
(독일어문학,
v.10,
2002,
pp.305-329)
-
10
-
유럽의 “포스트국가적 구도”에서 정체성의 문제 - 탈국가적 소설로 본 스타니시치의 『 출신』
-
신지영;
고려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23,
pp.173-1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