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A Narrative of desire for being 'modern intellectual' - The identity of private detective Yu, Bul-Ran represented in Kim, Nea-Sung's detective novels -
-
최승연;
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15,
2009,
pp.87-128)
-
2
-
‘근대적 지식인 되기’를 향한 욕망의 서사 -김내성 추리소설에 나타난 탐정 유불란의 정체-
-
최승연;
고려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0,
2009,
pp.87-128)
-
3
-
“우연한 독립”의 부정에서 문명화의 모순된 긍정으로 - 윤치호의 사례
-
Bulran You;
;
(정치사상연구 = The Korean review of political thought,
v.19,
2013,
pp.85-108, 218-219)
-
4
-
정체성이라는 전략: 조선후기 대명유민의 경우를 중심으로
-
유불란;
서강대학교 글로컬사회문화연구소;
(통일과 평화,
v.14,
2022,
pp.315-345)
-
5
-
강상규, 『조선정치사의 발견 조선의 정치지형과 문명전환의 위기』(창비, 2013)
-
Choi Yeon-Sik;
Koh Hee-Tak;
You Bul-Ran;
Lee Min-Won;
Kim Tae-Heui;
;
(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,
v.13,
2014,
pp.241-273)
-
6
-
정한론, 혹은 방편으로서의 ‘조선’ - 幕末期 対馬藩의 경우를 중심으로 -
-
유불란;
서강대학교 글로컬한국정치사상연구소;
(日本思想,
v.0,
2018,
pp.279-302)
-
7
-
Whose Law to Apply?: Kwon I-jin’s Official Report of a 1707 Waegwan Legal Dispute
-
유불란;
;
(Korea Journal,
v.60,
2020,
pp.126-149)
-
8
-
From ‘Becoming’ to ‘Doing’: A Study on the problem of ‘situation-focused’ perspective in the late Chosŏn dynasty
-
유불란,;
;
(담론201 = Discourse,
v.20,
2017,
pp.101-126)
-
9
-
Meiji Bushido - Re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of Self-identity in Modern East Asia
-
유불란,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51,
2017,
pp.217-234)
-
10
-
근대 한국의 서양사상 유입과 민 인식의 변화 : 불복하는 백성들의 탄생
-
유불란;
경희대학교;
(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,
v.13,
2014,
pp.121-1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