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00건 중 600건 출력
, 1/60 페이지
-
1
-
고려중기 정치권력과 유학사상
-
마종락;
;
(釜山史學,
v.32,
1997,
pp.1-46)
-
2
-
[연구동향]조선시대 유학사상 연구 - 쟁점과 과제 -
-
중세 2분과 17세기 유학사상사반;
;
(역사와 현실,
v.7,
1992,
pp.388-418)
-
3
-
제4장 유학사상의 전래와 변천
-
김강녕;
;
(민족사상 = Korean association of national thought,
v.3,
2009,
pp.125-165)
-
4
-
[이 책을 말한다]금장태의 『조선 전기의 유학사상』
-
황의동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,
1998,
pp.180-185)
-
5.
- 방효유(方孝孺) 유학사상 연구 : 경세론적 관점을 중심으로
- 이진명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311 p., 2022
-
6
-
기조 : 한국유학사상 서술의 과제와 의의 - 기존의 『한국유학사』서술을 참고하여
-
윤사순;
;
(국학연구,
v.3,
2003,
pp.5-21, 445-446)
-
7
-
국문학(國文學)에 나타난 유학사상(儒學思想)
-
김원경;
;
(동악어문논집,
v.10,
1977,
pp.83-106)
-
8
-
On the local Confucian tradition in Pyeong An Province in thelate Joseon Korea
-
Noh, KwanBum;
;
(韓國思想史學,
v.66,
2020,
pp.205-241)
-
9
-
예학시대 유학사상의 이해문제
-
윤사순;
;
(국학연구,
v.13,
2008,
pp.5-15)
-
10
-
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
-
이종성;
;
(철학논총,
v.61,
2010,
pp.95-11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