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37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‘Nation-building’ in Afghanistan After the Withdrawal of the Occupation Forces: Still Valid the Modernization Model?
-
Lee, Woong-Hyeon;
;
(인문사회 21 =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,
v.9,
2018,
pp.527-540)
-
2
-
팬데믹 시기에 해외자회사의 역할은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? 아시아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 해외자회사를 대상으로 한 탐색적 연구
-
장유진;
김은영;
이재은;
국립순천대학교;
국립순천대학교;
국립순천대학교;
(국제경영리뷰,
v.28,
2024,
pp.109-122)
-
3.
- 북한의 ‘주한미군 철수’ 주장에 대한 동인과 전략 연구
- 박수찬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65 p., 2024
-
4
-
닉슨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수정책 - 전략과 ‘정부정치’의 동학 -
-
류인석;
영남대학교 군사학과;
(군사,
v.0,
2024,
pp.399-436)
-
5
-
흥남철수작전과 월남민 현봉학의 역할
-
김선호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학림,
v.52,
2023,
pp.223-260)
-
6
-
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수정책과 한국의 대응: 철수계획 수정 후 한미연합사 창설까지
-
조관행;
공군사관학교;
(신아세아,
v.28,
2021,
pp.137-173)
-
7
-
베트남 파병과 주한미군 재조정 정책의 변화
-
류인석;
함동군사대학교;
(한국군사,
v.13,
2023,
pp.89-121)
-
8
-
흥남철수정신의 올바른 이해와 계승을 위한 2030 세대의 기대가치 연구
-
김철호;
청주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6,
2024,
pp.391-407)
-
9
-
한반도 평화체제 만들기의 국제정치적 기원: 북한자료를 통해서 본 정전협정 4조 60항의 합의과정
-
구갑우;
북한대학원대학교;
(한국과 국제정치,
v.37,
2021,
pp.253-285)
-
10
-
베트남전쟁 한국군 철수와 국내의 여론・정치 동향
-
오보경;
이화여자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20,
pp.127-1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