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1970년대 이강소의 실험미술 연구
-
Eunjoo Lee,;
;
(현대미술사연구 = Journal of history of modern art,
v.45,
2019,
pp.199-228)
-
2
-
이강소와 《대구현대미술제》: 1970년대 전반기를 중심으로
-
박민영;
대구광역시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24,
pp.173-204)
-
3
-
1970년대 이강소의 실험미술 연구
-
이은주;
홍익대학교;
(현대미술사연구,
v.0,
2019,
pp.199-228)
-
4
-
Lee Kang-so and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: Focusing on the First Half of the 1970s
-
Park, Minyoung;
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 =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,
v.47,
2024,
pp.173-203)
-
5
-
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콘텐츠의 인지적 어포던스가 관람자의 인터랙션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
-
이강소;
최유주;
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VCAR 연구실;
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뉴미디어콘텐츠학과;
(정보처리학회논문지.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.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,
v.5,
2016,
pp.441-450)
-
6.
-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콘텐츠의 인지적 어포던스 향상이 관람자의 인터랙션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
- 이강소
-
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, 2016
-
7
-
어포던스 이론 기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멀티 모달 미디어 아트 콘텐츠의 설계
-
이강소;
최유주;
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뉴미디어학부;
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뉴미디어학부;
(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,
v.2015,
2015,
pp.36-37)
-
8
-
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콘텐츠의 인지적 어포던스가 관람자의 인터랙션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
-
이강소;
최유주;
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VCAR 연구실;
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;
(정보처리학회 논문지,
v.5,
2016,
pp.441-450)
-
9.
- 추상회화에서 제스춰적 드로잉에 관한 연구 :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
- 박귀옥
-
신라대학교, 국내석사,
ii, 23 p., 2003
-
10
-
1970년대 한국의 실험미술에서 사진의 활용과 지표적 징후들
-
여문주;
중앙대학교;
(문화예술산업연구,
v.22,
2022,
pp.1-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