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90건 중 390건 출력
, 1/39 페이지
-
1
-
부작란不作蘭-벼루읽기 - 이근배
-
오거돈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49,
2013,
pp.94-96)
-
2
-
이슈&피플-문학 계간지 <문학의 문학> 편집주간 이근배 시인
-
송보경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83,
2007,
pp.14-14)
-
3
-
영언(永言) (이근배본) 계열 가집 연구
-
이상원;
조선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61,
2024,
pp.199-232)
-
4
-
『永言』(이근배본)의 문헌 특성과 계보
-
권순회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1,
2020,
pp.93-120)
-
5
-
무명씨를 통해 본 『영언』(이근배본)의 가집사적 위상
-
이상원;
조선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1,
2020,
pp.121-163)
-
6
-
『永言』(이근배본)의 三數大葉, 聳歌, 蔓橫의 성격
-
신경숙;
한성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1,
2020,
pp.165-195)
-
7
-
『永言』(이근배본)의 문헌 특성과 계보
-
권순회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1,
2020,
pp.93-120)
-
8
-
식품 이물검출과 소비자 분노
-
이근배;
;
((월간)유통저널 = Journal of distribution,
v.3,
2008,
pp.15-17)
-
9
-
『永言』(이근배본)의 三數大葉, 聳歌, 蔓橫의 성격
-
신경숙;
한성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1,
2020,
pp.165-195)
-
10
-
무명씨를 통해 본 『영언』(이근배본)의 가집사적 위상
-
이상원;
조선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1,
2020,
pp.121-1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