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인천 학산서원(鶴山書院)과 이단상(李端相) · 이희조(李喜朝) 부자(父子)
-
우경섭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5,
pp.459-484)
-
2
-
율곡학파의 이단상 계열이 이해한 ‘리’의 의미
-
김승영;
충남대학교;
(동양철학,
v.0,
2013,
pp.1-23)
-
3
-
Features of Sa-i-bi Discourse Reinforced by Protestant I-dan-sang-dam
-
LEE, Jung Eun;
;
(宗敎硏究 = Korean journal of religious studies,
v.83,
2023,
pp.85-118)
-
4
-
인천 학산서원(鶴山書院)과 이단상(李端相) · 이희조(李喜朝) 부자(父子)
-
우경섭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5,
pp.459-484)
-
5.
- 李端相의 家學 계승과 『大學』 이해
- 이은찬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석사,
iv, 76 p., 2025
-
6
-
靜觀齋 李端相(1628~1669)의 經世 의식과 『大學』 연구
-
오세현;
경상국립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58,
2024,
pp.109-146)
-
7
-
『李氏聯珠集』 硏究 - 李廷龜 家系의 文學傾向을 中心으로
-
이명희;
충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86,
2015,
pp.107-132)
-
8
-
靜觀齋 李端相의 생애와 사상 (1) -병자호란 경험과 禮論을 중심으로-
-
우경섭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0,
pp.577-606)
-
9
-
靜觀齋 李端相(1628~1669)의 經世 의식과 『大學』 연구
-
오세현;
경상국립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58,
2024,
pp.109-146)
-
10
-
靜觀齋 李端相의 생애와 사상 (2) -대명의리론과 상수학을 중심으로-
-
우경섭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1,
pp.277-3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