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조선시대 생활사 체험학습 실행연구 : 조선후기 규합총서의 염색법을 중심으로
- 김덕규
-
경인교육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iii, 75 p., 2012
-
2
-
1930년대 전반기 이광수 민족파시즘론 재고― 『동광총서』(1933)를 중심으로
-
최주한;
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9,
pp.405-432)
-
3
-
朝鮮後期 書畵收藏論 硏究
-
황정연;
;
(藏書閣 = Journal of Jangseogak archives,
v.24,
2010,
pp.193-231)
-
4
-
朝鮮後期 書畵收藏論 硏究― 서화수장에 대한 인식과 실제
-
황정연;
국립문화재연구소;
(藏書閣,
v.0,
2010,
pp.193-231)
-
5
-
어린이 역사·전기 도서의 서사성과 교육의 과제
-
한명숙;
공주교육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22,
pp.7-37)
-
6.
- 이이(李珥)의 시 교육론 연구
- 이영환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ⅴ, 181 p., 2015
-
7.
- 문학의 교육적인 가능성 -시마자키도손의『파계』를 중심으로-
- 소영섭
-
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28 p., 2014
-
8.
- 元曉의 和諍思想에 依據한 無㝵舞의 現代的 再現 硏究
- 채한숙
-
嶺南大學校, 국내박사,
vi, 184 p., 2012
-
9.
- 국내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
- 최예진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09 p., 2013
-
10.
- 明末淸初 科擧수험용 書籍의 상업출판과 전파
- 황지영
-
延世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iii, 233 p., 20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