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이미륵, 영원한 한국인 - 작가론
-
정규화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10,
1998,
pp.177-203)
-
2
-
문필가로 살다간 동물학박사 '이미륵'
-
박성래;
한국외국어대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38,
2005,
pp.102-104)
-
3
-
이미륵의 독일어로 쓰인 『한국어 문법 (초고)』
-
김미경;
;
(헤세연구 = Hesse-Forschung,
v.22,
2009,
pp.457-476)
-
4
-
이미륵의 문학활동과 휴머니즘
-
정규화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11,
1999,
pp.125-152)
-
5
-
이미륵 문학의 실존적 비극성
-
류진상;
;
(헤세연구,
v.0,
2015,
pp.217-238)
-
6.
- 루쉰(魯迅)과 이미륵의 고향 의식에 대한 비교 연구 : 『납함』과 『압록강은 흐른다』를 중심으로
- 왕잉
-
서울시립대학교, 국내석사,
i,55p., 2016
-
7
-
이주(移住)와 탈출(脫出) 사이: 이미륵의 망명문학
-
석희진;
고려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62,
2023,
pp.107-161)
-
8
-
이미륵 문학의 실존적 비극성
-
류진상;
공주대학교;
(헤세연구,
v.0,
2015,
pp.217-238)
-
9
-
Between Migration and Escape: Mirok Li's Exile Literature
-
Seok, Hee-jin;
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62,
2023,
pp.107-161)
-
10
-
이미륵의 독일어로 쓰인 『한국어 문법 (초고)』
-
김미경;
;
(헤세연구,
v.0,
2009,
pp.457-4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