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785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.
- 송은 이병직의 서화와 수장품 연구
- 이도헌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ⅹ,115 p., 2021
-
2
-
청대(淸代)의 김농(金農)과 이병수(伊秉綬)의 예서(隸書) 작품 비교연구
-
장뢰;
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8,
2022,
pp.493-503)
-
3
-
가람(嘉藍) 이병기 생가(李秉岐 生家) 수우재(守愚齋)에서 찾는 소박함과 선비정신
-
김정식;
노재현;
김정문;
오현경;
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;
전북대학교 조경학과;
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28,
2010,
pp.1-11)
-
4
-
도열병 이병엽접종원에 대한 수도 품종의 반응에 미치는 온도 및 Water Stress의 영향
-
이순구;
한국인삼연초연구소 증평인삼시험장;
(韓國作物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,
v.26,
1981,
pp.137-145)
-
5
-
콩 흑색(黑色) 뿌리 썩음병(病)의 이병(罹病) 정도(程度)에 따른 수량(收量) 감소(減少)
-
성재모;
정길웅;
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;
단국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;
(한국균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,
v.11,
1983,
pp.99-101)
-
6
-
딸기의 수확 전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한 수확 후 잿빛곰팡이병 발생의 억제
-
변홍주;
최성진;
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,
v.44,
2003,
pp.859-862)
-
7
-
약용허브의 재배와 이용, 1
-
이병수;
;
(상업농경영 = Farm business management,
v.243,
2008,
pp.62-77)
-
8
-
3종의 연어과 어류와 수정난으로부터 분리한 물곰팡이병 원인 진균의 분류와 약물효과
-
지보영;
이덕찬;
김나영;
정승희;
박수일;
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;
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;
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;
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;
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;
(한국어병학회지,
v.20,
2007,
pp.147-160)
-
9
-
퍼지논리적 관점에서의 -중도·연기 사상-
-
이병수;
;
(基礎科學硏究論文集 = Bulletin of basic science research center,
v.18,
2007,
pp.1-6)
-
10
-
Fusarium moniliforme 이병주(罹病株)의 이앙후(移秧後) 병징출현(病懲出現)과 수량(收量)과의 관계(關係)
-
성재모;
양성석;
박종성;
강원대학교 임과대학;
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;
충남대학교 농과대학;
(한국균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,
v.12,
1984,
pp.171-1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