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[주제서평] 민족사를 넘어서려는 시도와 곤경-이성시, 『만들어진 고대』(삼인, 2001)
-
배성준;
;
(역사문제연구,
v.2002,
2002,
pp.181-194)
-
2
-
Lee Seongsi(Trans, Park Kyunghee), An Ancient Period in East Asia : A Place for the Struggle of Modern People(2019)
-
Mun, Gyung-Ho;
;
(歷史 敎育,
v.153,
2020,
pp.321-341)
-
3
-
黑板勝美(구로이타 가쯔미)를 통해 본 식민지와 역사학
-
이성시;
;
(韓國文化,
v.23,
1999,
pp.243-262)
-
4
-
일본 역사학계의 동아시아세계론에 대한 재검토 - 한국학계와의 대화로부터
-
이성시;
;
(歷史 學報,
v.182,
2012,
pp.57-80)
-
5
-
동아시아에서의 낙랑-과제와 방법에 대한 시론-
-
이성시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34,
2004,
pp.5-18)
-
6
-
한국고대사연구와 식민지주의 - 그 극복을 위한 과제
-
이성시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1,
2011,
pp.193-219)
-
7
-
⟨書評⟩ 이성시(박경희 역), 『투쟁의 장으로서의 고대사』, 삼인, 2019.
-
문경호;
공주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20,
pp.321-341)
-
8
-
韓國木簡연구의 현황과 咸安城山山城출토의 木簡
-
이성시;
이용현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19,
2000,
pp.77-121)
-
9
-
국사 해체론의 신화 - 임지현이성시 엮음,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(서울 : 휴머니스트, 2004) -
-
김영환;
부경대;
(역사와경계,
v.0,
2005,
pp.281-290)
-
10
-
[서평] 국사 해체론의 신화 임지현ㆍ이성시 엮음, 『국사의 신화를 넘어서』 (서울 : 휴머니스트, 2004), 479pp.
-
김영환;
;
(역사와경계 = History & the Boundaries,
v.54,
2005,
pp.281-2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