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헤게모니적 남성성
-
이아람찬;
목원대 영화영상학부;
(만화애니메이션 연구=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,
v.19,
2010,
pp.37-50)
-
2
-
게임 리터러시 교육의 양상과 특징 연구
-
이아람찬;
목원대학교;
(지식과 교양,
v.17,
2025,
pp.597-619)
-
3
-
초·중·고 교실에서 영화 사용에 관한 연구: 등급과 연령의 불일치를 중심으로
-
이아람찬;
목원대학교;
(예술교육연구,
v.19,
2021,
pp.293-308)
-
4
-
대학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양상 -목원대 교양과목을 중심으로-
-
이아람찬;
목원대학교;
(대학교양교육연구,
v.7,
2022,
pp.49-65)
-
5
-
문화예술교육으로서 만화애니메이션교육과 영화교육 :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교직과정을 중심으로
-
이아람찬;
동국대학교;
(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년도 상반기종합학술대회,
v.2011,
2011,
pp.66-77)
-
6
-
Traumatized Masculinity in Jung Jiwoo’s Happy End
-
이아람찬,;
;
(The review of Korean studies,
v.19,
2016,
pp.169-194)
-
7
-
교육적 텍스트로서 예술영화
-
이아람찬;
목원대학교;
(씨네포럼,
v.0,
2010,
pp.115-141)
-
8
-
교육영화란 무엇인가 : 교육영화의 개념과 수용
-
이아람찬;
목원대학교;
(씨네포럼,
v.0,
2015,
pp.527-549)
-
9
-
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헤게모니적 남성성
-
이아람찬;
목원대학교;
(만화애니메이션연구,
v.0,
2010,
pp.37-50)
-
10
-
초기 한국영화교육사 연구 : 1920년부터 1940년대를 중심으로
-
이아람찬;
목원대학교;
(씨네포럼,
v.0,
2012,
pp.311-3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