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朝鮮後期 實學派의 茶文化에 관한 硏究 : 利用厚生學派를 中心으로
- 노향미
-
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84 p., 2009
-
2.
- 실학사상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교육과정의 목표 연구
- 이미란
-
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57p., 2007
-
3.
- 北學派의 連行經驗과 現實認識의 變化
- 박병욱
-
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4p., 2003
-
4.
- 茶山의 敎育思想에 관한 연구
- 김은숙
-
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87p., 2002
-
5.
- 淸代「實學思想」對韓國之影響 : 以十七, 十八世紀爲中心
- 이현
-
國立臺灣師範大學, 국외박사,
V, 302 p., 1988
-
6
-
‘三事’의 꿈, 홍길주의 「여의침명서」 재론을 겸해
-
박무영;
연세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0,
pp.291-318)
-
7.
- 月巖 李匡呂 漢詩 硏究
- 이용훈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2 p., 2013
-
8
-
담헌 홍대용의 ⟨대학문의(大學問疑)⟩ ː북학파의 『대학』 이해의 일단(一端)
-
안외순;
한서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08,
pp.385-411)
-
9
-
북한 학술에 보이는 정약용의 사회정치사상과 사실주의문학의 지향점
-
전성건;
국립경국대학교;
(양명학,
v.0,
2025,
pp.259-302)
-
10.
- [열하일기]에 내재된 연암의 종교사상 연구
- 유위경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40p., 199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