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STANDARDS PRISM(1) 표준의 창(窓) - 표준교육은 전문화와 대중화의 두 방향으로 이루어져야
-
이진랑;
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;
(기술표준= The Monthly technology & standards,
v.119,
2012,
pp.6-9)
-
2
-
다국어도메인의 대중화 실패 요인 탐색: 국제표준화 과정 분석을 통하여
-
이진랑;
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;
(정보화 정책 = Informatization policy,
v.23,
2016,
pp.43-63)
-
3
-
가족계획 정책에 관한 국제 커뮤니케이션: 사하라이남 불어권 아프리카 사례 (2012-2016)
-
이진랑;
한국외국어대학교 EU 연구소;
(국제지역연구 =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,
v.21,
2017,
pp.31-66)
-
4
-
프랑스 디지털 민주주의 제도화 과정: 정책 소통 행위자-네트워크의 재구성
-
이진랑;
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;
(입법과 정책,
v.16,
2024,
pp.223-252)
-
5
-
Organization communication regarding ISO 26000 practices in South Korea: focusing on the enlarged scope
-
이진랑;
;
(Korean Social Science Journal,
v.41,
2014,
pp.57-77)
-
6
-
유럽 표준화 과정에서의 새로운 이해당사자의 출현: 초국주의와 일국일대표제 사이의 정책적 딜레마
-
이진랑;
연세대학교;
(사회과학연구,
v.19,
2011,
pp.204-233)
-
7
-
프랑스 디지털공화국법 입법 과정에 나타난 정책 소통(2012-2018): 디지털 민주주의 제도화의 전초역
-
이진랑;
박성우;
한국외국어대학교;
우송대학교;
(국제지역연구,
v.23,
2019,
pp.109-142)
-
8.
- 황제푸리, 세 존재에 대한 고찰
- 임금신
-
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7, 2022
-
9
-
유럽 표준화 과정에서의 새로운 이해당사자의 출현: 초국주의와 일국일대표제 사이의 정책적 딜레마
-
이진랑;
연세대학교;
(사회과학연구,
v.19,
2011,
pp.204-233)
-
10
-
ISO 26000 선정 과정의 의사소통적 타당성 분석: 국제 커뮤니케이션 관찰을 통하여
-
이진랑;
연세대학교;
(커뮤니케이션학 연구,
v.20,
2012,
pp.47-7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