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이헌구 비평 연구
-
최윤정;
영남대학교;
(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,
v.22,
2014,
pp.231-256)
-
2
-
단정 수립 후 문학 장의 변화와 이헌구의 문단회고- 자기 서사의 재구성 양상을 중심으로
-
김준현;
성신여자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8,
pp.59-84)
-
3
-
일제말기 고독한 문화인의 초상 - 이헌구의 「일기」를 중심으로
-
박성태;
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;
(상허학보,
v.70,
2024,
pp.315-349)
-
4
-
Lee Heongu’s Culture and Anti-communist Logic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
-
Ko, Bong-Jun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68,
2020,
pp.7-35)
-
5
-
한국 전쟁 전후 이헌구의 ‘문화’ 인식과 ‘반공’의 논리
-
고봉준;
경희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20,
pp.7-35)
-
6
-
B lymphocyte에 관한 연구동향
-
이헌구;
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;
(微生物과 産業 =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,
v.17,
1991,
pp.29-31)
-
7
-
Inosiplex가 세포성(細胞性) 및 체액성면역반응(體液性免疫反應)에 미치는 영향(影響)
-
하대유;
이헌구;
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;
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;
(대한미생물학회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,
v.16,
1981,
pp.57-64)
-
8
-
이헌구와 와세다대학교 문학부 교양주의 ―교양, 대중, 엘리트주의
-
장인수;
성균관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12,
pp.341-380)
-
9
-
문예비평가 이헌구의 번역가와 교육자로서의 면모
-
김미영;
홍익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8,
pp.147-174)
-
10
-
안보 불안 불식시키고 선진군으로 재탄생 : 전작권 전환 연기에 따라 우리 군이 해야 할 일
-
노훈;
이헌구;
;
(국방저널 = National Defense Journal,
v.440,
2010,
pp.24-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