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「일득록」을 통해 본 정조의 문학론
- 이규호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6 p., 2004
-
2
-
정조(正祖)의 사서(四書) 육경(六經) 이해와 주자학(朱子學)적 문장론 -「일득록_문학(日得錄_文學)」을 중심으로-
-
이시연;
성균관대학교;
(인문과학,
v.0,
2024,
pp.265-298)
-
3
-
King Jeongjo’s Understanding of the Four Books and Six Classics and Neo-Confucian Literary Theory - Focusing on Ildeukrok: Literature -
-
Lee, Si Yeon;
;
(人文科學 :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= Journal of the humanities,
v.95,
2024,
pp.265-298)
-
4.
- <日得錄>을 중심으로 본 正祖의 經學思想 一 考察
- 손정선
-
경성대학교, 국내석사,
45장, 2002
-
5
-
한문고전에 드러난 텃세 문화에 대한 융합적 연구 - 자기조직화 분석틀을 중심으로
-
백진우;
옥지호;
전주대학교;
전주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1,
2019,
pp.493-518)
-
6
-
한문고전에 드러난 텃세 문화에 대한 융합적 연구 - 자기조직화 분석틀을 중심으로
-
백진우;
옥지호;
전주대학교 한국어문학과;
전주대학교 경영학과;
(문화와 융합 = Culture and convergence,
v.41,
2019,
pp.493-518)
-
7
-
정조의 독서론 고찰
-
박수밀;
한양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9,
pp.85-114)
-
8.
- 정조(正祖)의 상실 극복 과정에 관한 상담학적 연구
- 이세중
-
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1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