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Pseudo Gayasa's Imna Japan Branch Theory
-
Yoo, Woo-chang;
;
(지역과 역사 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55,
2024,
pp.133-162)
-
2
-
임나일본부설의 역사학
-
연민수;
동북아역사재단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6,
pp.171-195)
-
3
-
‘사이비 가야사’의 임나일본부설
-
유우창;
부산대학교;
(지역과 역사,
v.0,
2024,
pp.133-162)
-
4
-
Ghost of Theory: The Theory of Japanese Mimana Government in Contemporary Chinese Perception of East Asian History
-
Yu, Yongtae;
;
(역사비평 = Critical review of history,
v.131,
2020,
pp.415-444)
-
5
-
임나일본부설의 역사학
-
연민수;
동북아역사재단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6,
pp.171-195)
-
6
-
일본 중등 역사교과서의 임나일본부설
-
김기섭;
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;
(백제문화,
v.0,
2018,
pp.217-242)
-
7
-
문헌학과 금석학의 융합으로 보는 광개토태왕릉비의 왜(倭)와 임나(任那) -임나일본부설과 관련하여-
-
이찬구;
사단법인 겨레얼살리기국민운동본부;
(역사와 융합,
v.0,
2019,
pp.85-135)
-
8
-
학설의 유령―당대 중국 동아시아사 인식 중의 ‘임나일본부설’
-
유용태;
서울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20,
pp.415-444)
-
9
-
식민사관에 의한 가야사연구와 그 극복
-
남재우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1,
2011,
pp.157-191)
-
10
-
廣開土大王陵碑의 정복기사해석 - 신묘년기사의 재검토와 관련하여
-
김영하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6,
2012,
pp.209-2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