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Jeongjae(正齋) Nam Dae-nyeon's(南大秊) Study and Thought
-
임옥균,;
;
(한국철학논집,
v.53,
2017,
pp.63-100)
-
2
-
Ganjae's lecture activities in Mungyeong
-
임옥균,;
;
(한국철학논집,
v.52,
2017,
pp.131-155)
-
3
-
朱子, 荻生徂徠, 丁若鏞의 『論語』 解釋의 差異(1) —「公冶長」을 中心으로 —
-
임옥균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4,
pp.93-122)
-
4
-
야마가 소코[山鹿素行]의 『논어』 해석(1) -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-
-
임옥균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0,
2018,
pp.153-178)
-
5
-
오규 소라이[荻生徂徠]의 『논어』해석의 특징(2) — 「팔일」「리인」편에 대한 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—
-
임옥균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9,
pp.313-338)
-
6
-
王夫之의 中庸解釋(2)- 朱子의 解釋과의 比較를 中心으로 -
-
임옥균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7,
pp.355-379)
-
7
-
오규 소라이[荻生徂徠]의 『논어』해석 :「학이」- 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-
-
임옥균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8,
pp.257-302)
-
8
-
王夫之의 『論語』解釋(1) - 朱子의 解釋과의 比較를 中心으로
-
임옥균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9,
pp.93-118)
-
9
-
王夫之의『 大學』이해 - 朱熹와의 比較를 中心으로-
-
임옥균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38,
2004,
pp.247-275)
-
10
-
王夫之對《大學》的理解 ――以與朱熹比較為中心
-
임옥균;
성균관대학교;
(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,
v.0,
2015,
pp.143-15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