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베트남 전쟁과 물건의 기억 - 임흥순의 ‘귀국박스’ 아카이브전들과 작업 (2008-2009)
-
고동연;
;
(美國史硏究 = Studies in American history,
v.35,
2012,
pp.121-160)
-
2
-
The Return of History in Korean Contemporary Art Since 2000: IM Heung-soon, Jane Jin Kaisen, Song Sanghee
-
LEE, EN JUNG;
;
(미술이론과 현장 = the Journal of art theory & practice,
v.36,
2023,
pp.137-174)
-
3
-
당사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영화:임흥순의 최근 작업을 중심으로
-
김동일;
대구가톨릭대학교;
(민주주의와 인권,
v.20,
2020,
pp.221-254)
-
4
-
변용의 관점에서 본 역사: 정동 개념과 임흥순의 작업을 중심으로
-
이병희;
독립연구자;
(미학예술학연구,
v.72,
2024,
pp.144-162)
-
5
-
관객으로 작동하는 기억의 기능 –임흥순의 ⟨고스트 가이드/Ghost Guide⟩를 중심으로
-
고진영;
경북대학교 미술학과;
(예술과 과학기술,
v.19,
2023,
pp.9-23)
-
6
-
2000년대 한국 현대미술에서 역사의 귀환: 임흥순, 제인 진 카이젠, 송상희
-
이은정;
경희대학교;
(미술이론과 현장,
v.0,
2023,
pp.137-174)
-
7
-
ISO착화성시험방법에 의한 목재시료의 착화특성연구
-
임흥순;
한국화재보험협회 연소시험실;
(방재기술 = Fire protection technology,
v.14,
1993,
pp.13-17)
-
8
-
방재시험연구 - ISO 샌드위치패널 화재시험방법의 개발 동향
-
임흥순;
방재시험연구원 건축구조부 건재환경팀;
(防災와 保險,
v.101,
2004,
pp.49-55)
-
9
-
Video on Demand 서비스
-
임흥순;
;
(정보통신 : 한국통신학회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,
v.11,
1994,
pp.50-58)
-
10
-
시험설비소개-차음성능시험장치
-
임흥순;
한국화재보험협회 건축음향팀;
(방재기술 = Fire protection technology,
v.21,
1996,
pp.38-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