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소눌(小訥) 노상직(盧相稷)의 교육 이념과 실천-『훈몽첩(訓蒙帖)』과 『자암일록(紫巖日錄)』을 중심으로-
-
전지원;
독립연구자;
(동방한문학,
v.0,
2025,
pp.209-232)
-
2.
- 『紫巖日錄』 삽입시에 나타난 講學文化와 그 의미
- 김소연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5 p., 2017
-
3.
- ‘紫巖日錄’을 통해 본 19세기 후반 서당의 교육
- 정찬호
-
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69, 2017
-
4
-
소눌(小訥) 노상직(盧相稷)의 교육 이념과 실천-『훈몽첩(訓蒙帖)』과 『자암일록(紫巖日錄)』을 중심으로-
-
전지원;
독립연구자;
(동방한문학,
v.0,
2025,
pp.209-232)
-
5
-
紫巖 李民寏의 「柵中日錄」과 「建州聞見錄」에 대하여
-
안세현;
고려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8,
pp.111-143)
-
6
-
Educational activities and meanings of the sonol No Sang-jik examined in Ja-am Ilok
-
Lee, Gyu-pil;
;
(漢文學報 = Han Mun Hak Bo,
v.41,
2019,
pp.59-87)
-
7
-
조선중기 과거응시자들의 과거여정과 체험 - 『고대일록(孤臺日錄)』과 『계암일록(溪巖日錄)』을 중심으로 -
-
채휘균;
영남대학교;
(민족문화논총,
v.0,
2015,
pp.477-510)
-
8
-
『紫巖日錄』으로 살펴본 小訥 盧相稷의 교육활동과 의미
-
이규필;
경북대학교;
(漢文學報,
v.41,
2019,
pp.59-87)
-
9
-
주자 경공부가 갖는 교육 실천의 의미 -『자암일록』을 중심으로
-
김영희;
주약초등학교;
(교육사상연구,
v.36,
2022,
pp.29-50)
-
10
-
紫巖 李民寏의 「柵中日錄」과 「建州聞見錄」에 대하여
-
안세현;
고려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8,
pp.111-14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