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자은도 소작쟁의
- 김상욱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6p, 2007
-
2
-
자은도 어로문화 조사노트
-
나승만;
이윤선;
;
(島嶼文化,
v.21,
2003,
pp.329-340)
-
3
-
자은도의 설화자료
-
이준곤;
이경희;
;
(島嶼文化,
v.21,
2003,
pp.315-327)
-
4
-
자은도 중심지(면소재지) 공간구조와 개발방안
-
박종철;
문병채;
;
(島嶼文化,
v.21,
2003,
pp.77-108)
-
5
-
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해빈사의 광물학적 특성
-
채수천;
정지성;
장영남;
배인국;
신희영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(韓國鑛物學會誌 =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,
v.20,
2007,
pp.289-302)
-
6
-
일제시기 자은도 소작쟁의의 전개 과정과 특징
-
이정선;
조선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20,
pp.247-276)
-
7
-
자은도의 신발견 옹관고분
-
李憲宗;
;
(島嶼文化,
v.21,
2003,
pp.1-10)
-
8
-
자은도설화의 의미와 해석
-
이준곤;
;
(島嶼文化,
v.21,
2003,
pp.289-314)
-
9
-
18~19세기 전라도 나주목 자은도의 촌락편제와 인구변동
-
김경옥;
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;
(한국학연구,
v.0,
2018,
pp.5-38)
-
10
-
초·중등과학 지질단원의 학습을 위한 자은도의 지역화 자료 개발 사례
-
김해경;
광주교육대학교;
(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,
v.13,
2020,
pp.110-1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