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489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.
- 퍼즐 개념을 활용한 장신구의 기능성 제고에 관한 연구
- 박희숙
-
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54 p., 2010
-
2
-
신라 금령총의 장신구 그리고 사람들 - 현재 관점의 장신구 검토 및 장신구 이용자에 대한 접근 -
-
김재열;
한국문화재재단;
(중앙고고연구,
v.0,
2023,
pp.41-72)
-
3
-
현대장신구에 나타나는 미니멀리즘 성향
-
이주현;
대림대학 재료정보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7,
2007,
pp.175-182)
-
4
-
고대 이집트 신화에 나타난 고대 장신구 연구
-
최진;
단국대학교 조형예술학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9,
2009,
pp.171-183)
-
5
-
삼국시대 장신구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에 관한연구 (백제장신구를 중심으로)
-
신미영;
박승철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디지털정책연구 =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& management,
v.10,
2012,
pp.603-612)
-
6
-
도자기 장신구의 콘텐츠 개발
-
김성민;
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세라믹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7,
2007,
pp.62-71)
-
7
-
아르누보와 현대 장신구의 조형성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
-
박지원;
박승철;
원광대학교;
공주대학교;
(디지털융복합연구 =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,
v.12,
2014,
pp.563-572)
-
8
-
다공성 금속을 이용한 남성 신변장신구 활용 방안
-
김민호;
중앙대학교 대학원 산업공예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9,
2009,
pp.191-198)
-
9.
- 소리를 만드는 장신구
- 이희정
-
국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34 p., 2008
-
10.
- 동화 '엄지공주'를 소재로 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: 스토리텔링(Storytelling)이 있는 장신구
- 김성리
-
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48p., 2006